의경 신청 방법 및 자격 정리

2018. 3. 23. 16:48

베키오 정보

 

 

군복무 방법 중 하나인 의경 신청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는데요. 의경 즉 의무경찰은 병역대상자 중 경찰청장이 선발하여 국방부 장관에게 추천하여 전환복무 된 자를 말하는데요. 개인적으로 의경의 장점은 외박이나 휴가가 많은거 같더라구요.

 

 

 

의경이 하는 일인데요. 집회 시위만 생각이 나는데요. 방법 순찰, 교통 질서 유지 등의 업무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제 친구는 시험을 아주 잘 봐서 아주 좋은데로 발령 받더라구요.

 

 

의무경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의경 신청을 할 수 있는데요. 본인 인증이 필요합니다. 의경 신청 과정을 정리해 보면 응시원서 제출, 홀수월 응시접수, 짝수월 모집시험, 중간합격자 발표, 무작위 추첨, 최종합격자 발표의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이 진행 순서만 아시면 홈페이지에서 쉽게 접수 하실 수 있을거에요.

 

시험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 드리면, 적성검사와 인성검사가 이루어지구요. 신체검사도 중요한데 체중 및 키가 현역 기준 3등급이상 나와야 하죠. 색맹은 지원할 수 없고 시력은 양쪽 0.8 이상 나와야 합니다. 고혈압과 저혈압 등 혈압에 문제가 있으면 탈락할 가능성이 높구요. 범죄경력이 있으면 사실상 통과가 어렵습니다. 징역 또는 금고형을 받으신 분들은 지원 불가입니다. 의경 신청 체력검사가 이루어지는데요. 윗몸일으키기 1분에 20개, 제자리 멀리뛰기 160cm이상, 팔굽혀 펴기 1분에 20개 정도는 해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의경은 일반의경과 특기의경, 독도경비대가 있는데요. 독도 경비대는 회차 모집을 따로 하고 있습니다. 일반 의경과 특기의경의 차이점은 특기의경은 외국어, 운전, 예능, 체육, 의무, 조리 등 분야별 모집을 따로 하는점 입니다.

 

 

 

각 분야별 지원 자격을 확인하고 본인이 해당해야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의경은 만 18세 이상 30세 이하만 지원 가능 하고, 의무경찰 홈페이지에서 상시 모집을 하기 때문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의경은 합격 후 5개월 뒤에 입대가 가능하고, 특기의경은 합격 후 3개월 뒤에 입대가 가능 합니다.